블로그   태그   위치로그   이웃로그   방명록
          
 
 
05-08 02:56
 
 
     
 
  전체 에 해당되는 글 57
2012.03.29   사용자 계정 자동로그인 및 제어판에 숨겨진 메뉴 열기 control userpasswords2 
2012.03.27   Windows XP/7의 환경변수들 Environment Variable 1
2012.03.27   포토샵에서 .ico/.cur 파일 처리 플러그인 
2012.03.21   하드웨어 안전 제거 아이콘 만들기 및 rundll32.exe 1
2012.03.21   제어판 바로가기 경로 추출 및 CLSID 
2012.03.21   페도라 리눅스 17에서 VMWare Tool 깔기 
2012.03.21   비주얼 스튜디오 2010 폰트 변경 Visual Studio 2010 Font 6
2012.03.21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컬러 스키마 조정 Visual Studio Color Schemes 
2012.03.16   좀비 슈터 Zombie Shooter 
2012.03.13   와이파이와 배터리 미터 
  사용자 계정 자동로그인 및 제어판에 숨겨진 메뉴 열기 control userpasswords2  +   [Windows]   |  2012. 3. 29. 12:47

사용자 계정을 두개 이상 만들었지만 시작시는 하나로만 로그인 하고 필요할 때만 로그오프해서 선택하고 싶을때가 있다.

또한 최신버전에선 안그러지만 VMware 7버전을 깔고나면 윈도에 __vmware_user__ 계정이 생겨서 로그인시마다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도 한다.

이 때 윈도에 바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시작 - 실행 - control userpassworlds2

에 들어가서

Users must enter a user name and password to use this computer.

에 체크를 해제하면 된다.

한글윈도에선 다른이름일텐데 체크박스가 하나밖에 없으므로 금방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실은 control은 제어판을 이용하는 기능으로 제어판의 사용자 계정의 숨겨진 두번째("User Accounts Admin (Alternate)" 메뉴를 사용하는 것이다.

실제로 userpasswords1을 치면 일반 사용자 관리가 나오게 된다.


이 숨겨진 메뉴를 제어판에 오픈하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파일을 만들어서 .reg로 저장하고 실행해 레지스트리에 추가한다.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LASSES_ROOT\CLSID\{98641F47-8C25-4936-BEE4-C2CE1298969D}]
@="Advanced User Accounts"
"InfoTip"="Starts the \"Control Userpasswords2\" Admin Screen"
"System.ControlPanel.Category"="9"

[HKEY_CLASSES_ROOT\CLSID\{98641F47-8C25-4936-BEE4-C2CE1298969D}\DefaultIcon]
@="%SystemRoot%\\System32\\netplwiz.exe"

[HKEY_CLASSES_ROOT\CLSID\{98641F47-8C25-4936-BEE4-C2CE1298969D}\Shell]

[HKEY_CLASSES_ROOT\CLSID\{98641F47-8C25-4936-BEE4-C2CE1298969D}\Shell\Open]

[HKEY_CLASSES_ROOT\CLSID\{98641F47-8C25-4936-BEE4-C2CE1298969D}\Shell\Open\command]
@="Control Userpasswords2"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ControlPanel\NameSpace\{98641F47-8C25-4936-BEE4-C2CE1298969D}]
@="Add Advanced User Accounts to Control Panel"


마음에 안들어서 지우고 싶으면 다음을 .reg로 만들어서 실행한다.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LASSES_ROOT\CLSID\{98641F47-8C25-4936-BEE4-C2CE1298969D}]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ControlPanel\NameSpace\{98641F47-8C25-4936-BEE4-C2CE1298969D}]



 
  
  Windows XP/7의 환경변수들 Environment Variable  +   [Windows]   |  2012. 3. 27. 20:44

윈도에선 기본적으로 지정되어 있는 환경변수들이 있어 복잡한 경로를 다 거치지 않더라도 특정 폴더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다음은 윈도7에서 제공하는 기본 환경변수들이다.


Variable Windows XP Windows Vista/7

 %ALLUSERSPROFILE%

 %PROGRAMDATA%

C:\Documents and Settings\All Users C:\ProgramData
 %APPDATA% C:\Documents and Settings\{username}\Application Data C:\Users\{username}\AppData\Roaming
 %COMPUTERNAME% {computername} {computername}
 %COMMONPROGRAMFILES% C:\Program Files\Common Files C:\Program Files\Common Files
 %COMMONPROGRAMFILES(x86)%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
 %COMSPEC% C:\Windows\System32\cmd.exe C:\Windows\System32\cmd.exe
 %HOMEDRIVE% C: C:
 %HOMEPATH% \Documents and Settings\{username} \Users\{username}
 %LOCALAPPDATA%
C:\Users\{username}\AppData\Local
 %LOGONSERVER% \\{domain_logon_server} \\{domain_logon_server}
 %PATH% C:\Windows\system32;C:\Windows;C:\Windows\System32\Wbem;{plus program paths} C:\Windows\system32;C:\Windows;C:\Windows\System32\Wbem;{plus program paths}
 %PATHEXT% .COM;.EXE;.BAT;.CMD;.VBS;.VBE;.JS;.WSF;.WSH .com;.exe;.bat;.cmd;.vbs;.vbe;.js;.jse;.wsf;.wsh;.msc
 %PROGRAMFILES%  %SystemDrive%\Program Files  %SystemDrive%\Program Files
 %PROGRAMFILES(X86)%  %SystemDrive%\Program Files (x86) (64비트 한정)  %SystemDrive%\Program Files (x86) (64비트 한정)
 %PROMPT% 현재 커맨드 프롬프트 포맷. 일반적으로 $P$G 현재 커맨드 프롬프트 포맷. 일반적으로 $P$G
{Drive}:\$Recycle.Bin C:\Recycle.Bin C:\$Recycle.Bin
 %SystemDrive% C: C:
 %SystemRoot%

윈도 폴더. 일반적으로 C:\Windows

가끔 C:\WINNT

 %SystemDrive%\Windows

 %TEMP%%TMP%

 %SystemDrive%\Documents and Settings\{username}\Local Settings\Temp  %SystemDrive%\Users\{username}\AppData\Local\Temp
 %USERDOMAIN% {userdomain} {userdomain}
 %USERDATA%  %SystemDrive%\Documents and Settings\{username}  %SystemDrive%\Users\{username}
 %USERNAME% {username} {username}
 %USERPROFILE%  %SystemDrive%\Documents and Settings\{username}  %SystemDrive%\Users\{username}
 %WINDIR% C:\Windows C:\Windows
 %PUBLIC%
 %SystemDrive%\Users\Public
 %PROGRAMDATA%
 %SystemDrive%\ProgramData
 %PSModulePath%
 %SystemRoot%\system32\WindowsPowerShell\v1.0\Modules\



 
  
  포토샵에서 .ico/.cur 파일 처리 플러그인  +   [Photoshop]   |  2012. 3. 27. 20:35

본래 .ico이나 .cur파일은 전문 파일 처리 프로그램이 있어서 포토샵으로 도트찍고 따로 처리해야 하지만, 포토샵에서 .ico를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있다.

http://www.telegraphics.com.au/sw/product/ICOFormat


.ico 파일 처리 외에도 몇개의 영상처리 툴을 제공하며 기본적으로 무료이나 도네이션을 권장하고 있다.

자신의 포토샵 버전(32비트/64비트)에 따라 다운로드 받아서

ICOFormatXX.8bi를

%PROGRAMFILES%\Adobe\Adobe Photoshop CSXX (64 Bit)\Plug-ins\

에 넣고 포토샵을 시작하면 이후 확장자에 .ico와 .cur이 등록되어 자유롭게 저장하고 편집할 수 있다.


 
  
  하드웨어 안전 제거 아이콘 만들기 및 rundll32.exe  +   [Windows/7]   |  2012. 3. 21. 20:30
나처럼 USB 마구 뽑는 사람도 있지만 하드웨어 안전 제거를 한 이후 스토리지를 뽑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실제로 디스크 캐시가 완벽하게 기록이 안된 상태에서 스토리지를 제거하면 기록되지 못한 데이터는 그대로 날아간다. 다시말하면 USB에 파일을 복사 했더라도 다른 컴퓨터에 꼽아보면 파일이 없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다음은 바탕화면에 하드웨어 안전 제거 아이콘을 만드는 방법이다.


바탕 화면 오른클릭 - 새로만들기(W) - 바로가기(S) 선택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HotPlug.dll 입력




바로 가기 이름 입력 (한글 윈도 7 기준 "하드웨어 안전하게 제거")


하면 다음과 같이 아이콘이 생성이 된다.

하지만 이대로는 아이콘 모양이 없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아이콘을 지정해 준다.



아이콘 오른클릭 - 속성




아이콘 변경(C)... 선택


%windir%\system32\HotPlug.dll 선택


마음에 드는 아이콘 선택


이 방법의 원리는 윈도에서 쉘 프로그램들을 열어주는 rundll32.exe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쉘프로그램들을 열 수 있다.

Content Advisor
RunDll32.exe msrating.dll,RatingSetupUI

Control Panel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Date and Time Properties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timedate.cpl

Display Settings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access.cpl,,3

Device Manager
RunDll32.exe devmgr.dll DeviceManager_Execute

Folder Options – File Types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Options 2

Folder Options – General
RunDll32.exe shell32.dll,Options_RunDLL 0

Folder Options – Search
RunDll32.exe shell32.dll,Options_RunDLL 2

Folder Options – View
RunDll32.exe shell32.dll,Options_RunDLL 7

Forgotten Password Wizard
RunDll32.exe keymgr.dll,PRShowSaveWizardExW

Hibernate
RunDll32.exe powrprof.dll,SetSuspendState

Keyboard Properties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main.cpl @1

Lock Screen
RunDll32.exe user32.dll,LockWorkStation

Mouse Properties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main.cpl @0

Map Network Drive
RunDll32.exe shell32.dll,SHHelpShortcuts_RunDLL Connect

Network Connections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ncpa.cpl

Power Options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powercfg.cpl

Regional Settings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intl.cpl,,3

Stored Usernames and Passwords
RunDll32.exe keymgr.dll,KRShowKeyMgr

System Properties: Advanced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sysdm.cpl,,4

System Properties: Automatic Updates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sysdm.cpl,,5

Taskbar Properties
RunDll32.exe shell32.dll,Options_RunDLL 1

User Accounts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nusrmgr.cpl

Windows Security Center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wscui.cpl

Windows – About
RunDll32.exe SHELL32.DLL,ShellAboutW

Unplug/Eject Hardware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hotplug.dll

Windows Firewall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firewall.cpl

Wireless Network Setup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NetSetup.cpl,@0,WNSW

RUN
Rundll32.exe shell32.dll,#61


여기에서도 쉼표(,)나 숫자를 이용해서 하위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원 옵션에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전원의 고급 옵션을 바로 들어가는 키는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powercfg.cpl 에서 쉼표 두개와 1을 붙인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powercfg.cpl,,1
이다.

 
  
  제어판 바로가기 경로 추출 및 CLSID  +   [Windows/7]   |  2012. 3. 21. 20:07
제어판의 아이콘들을 바로가기 만드는 것은 쉽다. 그냥 드래그해서 바탕화면으로 끌고 오기만 하면 된다.
하지만 Dock같은 다른 프로그램에서 열려면? 드래그도 안되는 Rainmeter 같은 프로그램이라면?
다음은 제어판 아이콘의 경로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물론 일부 안되는 아이콘도 있다.)


먼저 제어판 아이콘을 바탕화면으로 끌고와 바로가기를 만든다.

실행(Win+R) - notepad

로 메모장을 실행해 이 바로가기를 연다.


다음과 같은 깨진 문자열이 보일텐데,


"::"앞의 문자열을 모두 삭제한다.
":" 이후 모든 공백을 삭제한다.
::{26EE0668-A00A-44D7-9371-BEB064C98683}\0\::{8E908FC9-BECC-40F6-915B-F4CA0E70D03D}

이것이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의 주소이다.
실행에 넣어보면 바로 뜨는 것을 알 수있다.
다른 프로그램에 넣을 때는 앞에 콜론(::)때문에 인식이 잘 안될 수 있는데, 이때는 따옴표("")로 감싸서 넣어주면 된다.

이 방법의 원리는 윈도의 COM Class object의 고유 식별자인 CLSID(Class ID)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앞의 ::{26EE0668-A00A-44D7-9371-BEB064C98683} 제어판을 나타내고
뒤의 ::{8E908FC9-BECC-40F6-915B-F4CA0E70D03D} 는 제어판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를 나타낸다.

단독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C:\Windows\explorer.exe shell:::{CLSID}
혹은
C:\Windows\explorer.exe /e,::{CLSID}

로 사용한다.

이 CLSID들은 레지스트리 에디터의

HKEY_LOCAL_MACHINE\SOFTWARE\Classes\CLSID\{CLSID}

에서 확인 가능하며 대부분의 CLSID들은 다음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

Action Center {BB64F8A7-BEE7-4E1A-AB8D-7D8273F7FDB6}
Add Network Location {D4480A50-BA28-11d1-8E75-00C04FA31A86}
Administrative Tools {D20EA4E1-3957-11d2-A40B-0C5020524153}
Advanced User Accounts {7A9D77BD-5403-11d2-8785-2E0420524153}
AutoPlay {9C60DE1E-E5FC-40f4-A487-460851A8D915}
Backup and Restore {B98A2BEA-7D42-4558-8BD1-832F41BAC6FD}
Biometric Devices {0142e4d0-fb7a-11dc-ba4a-000ffe7ab428}
BitLocker Drive Encryption {D9EF8727-CAC2-4e60-809E-86F80A666C91}
Bluetooth Devices {28803F59-3A75-4058-995F-4EE5503B023C}
Briefcase {85BBD920-42AO-1069-A2E4-08002B30309D}
Color Management {B2C761C6-29BC-4f19-9251-E6195265BAF1}
Computer {20d04fe0-3aea-1069-a2d8-08002b30309d}
Connect To {38A98528-6CBF-4CA9-8DC0-B1E1D10F7B1B}
Control Panel (Icons view) {21EC2020-3AEA-1069-A2DD-08002B30309D}
Control Panel (All Tasks) {ED7BA470-8E54-465E-825C-99712043E01C}
Control Panel (Category view) {26EE0668-A00A-44D7-9371-BEB064C98683}
Credential Manager {1206F5F1-0569-412C-8FEC-3204630DFB70}
Date and Time {E2E7934B-DCE5-43C4-9576-7FE4F75E7480}
Default Location {00C6D95F-329C-409a-81D7-C46C66EA7F33}
Default Programs {17cd9488-1228-4b2f-88ce-4298e93e0966}
{E44E5D18-0652-4508-A4E2-8A090067BCB0}
Desktop Gadgets {37efd44d-ef8d-41b1-940d-96973a50e9e0}
Desktop in Favorites {04731B67-D933-450a-90E6-4ACD2E9408FE}
Device Manager {74246bfc-4c96-11d0-abef-0020af6b0b7a}
Devices and Printers {A8A91A66-3A7D-4424-8D24-04E180695C7A}
Display (DPI) {C555438B-3C23-4769-A71F-B6D3D9B6053A}
Ease of Access Center {D555645E-D4F8-4c29-A827-D93C859C4F2A}
E-mail (default program) {2559a1f5-21d7-11d4-bdaf-00c04f60b9f0}
Favorites {323CA680-C24D-4099-B94D-446DD2D7249E}
Flip 3D {3080F90E-D7AD-11D9-BD98-0000947B0257}
Folder Options {6DFD7C5C-2451-11d3-A299-00C04F8EF6AF}
Font Settings {93412589-74D4-4E4E-AD0E-E0CB621440FD}
Fonts {BD84B380-8CA2-1069-AB1D-08000948534}
Gadgets {37efd44d-ef8d-41b1-940d-96973a50e9e0}
Game Controllers {259EF4B1-E6C9-4176-B574-481532C9BCE8}
Games Explorer {ED228FDF-9EA8-4870-83b1-96b02CFE0D52}
Get Programs {15eae92e-f17a-4431-9f28-805e482dafd4}
Getting Started {CB1B7F8C-C50A-4176-B604-9E24DEE8D4D1}
Help and Support {2559a1f1-21d7-11d4-bdaf-00c04f60b9f0}
HomeGroup {67CA7650-96E6-4FDD-BB43-A8E774F73A57}
Indexing Options {87D66A43-7B11-4A28-9811-C86EE395ACF7}
Infared {A0275511-0E86-4ECA-97C2-ECD8F1221D08}
Installed Updates {d450a8a1-9568-45c7-9c0e-b4f9fb4537bd}
Internet Options {A3DD4F92-658A-410F-84FD-6FBBBEF2FFFE}
iSCCI Initiator {A304259D-52B8-4526-8B1A-A1D6CECC8243}
Keyboard Properties {725BE8F7-668E-4C7B-8F90-46BDB0936430}
Libraries {031E4825-7B94-4dc3-B131-E946B44C8DD5}
Location {00C6D95F-329C-409a-81D7-C46C66EA7F33}
Location and Other Sensors {E9950154-C418-419e-A90A-20C5287AE24B}
Manage Wireless Networks {1fa9085f-25a2-489b-85d4-86326eedcd87}
Mobility Center {5ea4f148-308c-46d7-98a9-49041b1dd468}
Mouse Properties {6C8EEC18-8D75-41B2-A177-8831D59D2D50}
My Documents {450d8fba-ad25-11d0-98a8-0800361b1103}
Network {F02C1A0D-BE21-4350-88B0-7367FC96EF3C}
Network and Sharing Center 8E908FC9-BECC-40f6-915B-F4CA0E70D03D}
Network Center Notification area pop-up {38A98528-6CBF-4CA9-8DC0-B1E1D10F7B1B}
Network Connections {7007ACC7-3202-11D1-AAD2-00805FC1270E} or {992CFFA0-F557-101A-88EC-00DD010CCC48}
Network Map {E7DE9B1A-7533-4556-9484-B26FB486475E}
Network Neighborhood {208D2C60-3AEA-1069-A2D7-O8002B30309D}
Network (WorkGroup) Places {208D2C60-3AEA-1069-A2D7-08002B30309D}
Notification Area Icons {05d7b0f4-2121-4eff-bf6b-ed3f69b894d9}
NVIDIA Control Panel (if driver installed) {0bbca823-e77d-419e-9a44-5adec2c8eeb0}
Offline Files Folder {AFDB1F70-2A4C-11d2-9039-00C04F8EEB3E}
Parental Controls {96AE8D84-A250-4520-95A5-A47A7E3C548B}
Pen and Touch {F82DF8F7-8B9F-442E-A48C-818EA735FF9B}
People Near Me {5224F545-A443-4859-BA23-7B5A95BDC8EF}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ools {78F3955E-3B90-4184-BD14-5397C15F1EFC}
Personalization {ED834ED6-4B5A-4bfe-8F11-A626DCB6A921}
Phone & Modem Location Information {40419485-C444-4567-851A-2DD7BFA1684D}
Power Options {025A5937-A6BE-4686-A844-36FE4BEC8B6D}
Printers {2227A280-3AEA-1069-A2DE-08002B30309D}
{863aa9fd-42df-457b-8e4d-0de1b8015c60}
Problem Reports (Action Center) {BB64F8A7-BEE7-4E1A-AB8D-7D8273F7FDB6}\pageProblem
Programs and Features {7b81be6a-ce2b-4676-a29e-eb907a5126c5}
Public folder {4336a54d-038b-4685-ab02-99bb52d3fb8b}
Recent Places {22877a6d-37a1-461a-91b0-dbda5aaebc99}
Recovery (System Restore) {9FE63AFD-59CF-4419-9775-ABCC3849F861}
Recycle Bin {645FF040-5081-101B-9F08-00AA002F954E}
Region and Language {62d8ed13-c9d0-4ce8-a914-47dd628fb1b0}
RemoteApp and Desktop Connections {241D7C96-F8BF-4F85-B01F-E2B043341A4B}
Run {2559a1f3-21d7-11d4-bdaf-00c04f60b9f0}
Search {2559a1f0-21d7-11d4-bdaf-00c04f60b9f0}
Set Program Access and Defaults {2559a1f7-21d7-11d4-bdaf-00c04f60b9f0}
Show Desktop {3080F90D-D7AD-11D9-BD98-0000947B0257}
Sound {F2DDFC82-8F12-4CDD-B7DC-D4FE1425AA4D}
Speech Recognition {58E3C745-D971-4081-9034-86E34B30836A}
Sync Center {9C73F5E5-7AE7-4E32-A8E8-8D23B85255BF}
System {BB06C0E4-D293-4f75-8A90-CB05B6477EEE}
System Icons {05d7b0f4-2121-4eff-bf6b-ed3f69b894d9} \SystemIcons
Tablet PC Settings {80F3F1D5-FECA-45F3-BC32-752C152E456E}
Taskbar and Start Menu {0DF44EAA-FF21-4412-828E-260A8728E7F1}
Text to Speech {D17D1D6D-CC3F-4815-8FE3-607E7D5D10B3}
Time and Date {E2E7934B-DCE5-43C4-9576-7FE4F75E7480}
Troubleshooting {C58C4893-3BE0-4B45-ABB5-A63E4B8C8651}
User Accounts {60632754-c523-4b62-b45c-4172da012619}
User Folder {59031a47-3f72-44a7-89c5-5595fe6b30ee}
User Pinned {1f3427c8-5c10-4210-aa03-2ee45287d668}
Web Browser (default) {871C5380-42A0-1069-A2EA-08002B30309D}
Windows Anytime Upgrade {BE122A0E-4503-11DA-8BDE-F66BAD1E3F3A}
Windows Cardspace {78CB147A-98EA-4AA6-B0DF-C8681F69341C}
Windows Defender {D8559EB9-20C0-410E-BEDA-7ED416AECC2A}
Windows Features {67718415-c450-4f3c-bf8a-b487642dc39b}
WEI {78F3955E-3B90-4184-BD14-5397C15F1EFC}
Windows Firewall
{4026492F-2F69-46B8-B9BF-5654FC07E423}
Windows Mobility Center {5ea4f148-308c-46d7-98a9-49041b1dd468}
Windows SideShow {E95A4861-D57A-4be1-AD0F-35267E261739}
Windows Update {36eef7db-88ad-4e81-ad49-0e313f0c35f8}


 
  
  페도라 리눅스 17에서 VMWare Tool 깔기  +   [Linux/Fedora]   |  2012. 3. 21. 19:37

VMWare에서 페도라 리눅스는 GNOME3을 제외하고 호환이 좋아서 사실상 별다른 설정 없이 그냥 툴을 깔면 된다.
하지만 GCC관련 파일이 없다는 에러가 나기 때문에 이런것이 싫은 사람은 다음의 과정으로 깔면 된다.]

주의할점은 페도라 리눅스 18부터 시디롬 mount 폴더가 /media에서 /run/media/(사용자명)/ 으로 바뀌었다.

VMware에 페도라 리눅스 설치 후 터미널에서

su
yum -y update

로 모든 업데이트를 완료한다.


재부팅 후(ctrl+r) 터미널에서

su
yum install gcc make kernel-devel perl kernel-PAE-devel

이라고 입력해 준다. 단, 64비트버전일 경우 마지막의 "kernel-PAE-devel"은 뺀다.


설치가 완료되면 VMware에서
VM - Install VMware Tools...

를 선택한 뒤 터미널에서

ls /media/VMware\ Tools/

로 VMware 툴의 파일 이름을 확인한 후

su
mkdir /mnt/tmp
cd /mnt/tmp
tar zxpf /VMware Tools/VMwareTools-(버전명).tar.gz
cd <vmware 폴더>
./vmware-install.pl


로 설치하면 된다.
몇가지를 물어볼텐데 그냥 엔터나 yes를 하면 된다.
중간에 experimental 이라는 글귀가 뜨며 시험적인 기능을 사용해 보겠냐고 하는데 no를 하는 것을 권장한다.

VMware 툴 설치 이후엔 유니티나 창 크기에 따른 해상도 변경, 드래그로 파일 전송, 마우스 자동 전송등이 지원된다.



 
  
  비주얼 스튜디오 2010 폰트 변경 Visual Studio 2010 Font  +   [Windows]   |  2012. 3. 21. 19:22
비주얼 스튜디오 2010의 기본 폰트는 돋움체로 사실 코딩하기에 좋은 글꼴은 아니다.
코딩할 때 좋은 글꼴의 조건은

1. 가독성이 좋을 것
2. 모양이 비슷한 기호(O,0,o,○ 혹은 1,I,i,j,l,|,│)가 확실하게 구별 되는 것 (예시로 쓴 기호는 전부 다른 글자들이다.)
3. 고정폭 (가변폭 글꼴일 경우 들여쓰기 같은 정렬이 맞지 않는다)
4. 한글 지원
5. 확장 문자 셋 지원

등이 있다. 이외에도 자간이나 높낮이는 호불호가 많이 갈린다.


개인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폰트는 역시 네이버에서 배포하는 나눔고딕 코딩글꼴이다.


네이버 개발자 센터에서 배포하는 이 글꼴은 위의 사항을 대부분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OFL(Open Font License) 라이센스를 적용하여 완전 무료, 완전 재배포가 가능하며 다른 프로그램에도 포함 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가 계속 진행중이기 때문에 앞으로의 버전업으로 더 나은모습을 기대해 볼만 하다.


글꼴의 적용은 다음과 같다.

Tools
Options...
Environment
Fonts and Color
Font에서 나눔고딕코딩선택

목록에서 굵게 표시된 글꼴은 고정폭 글꼴이다.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컬러 스키마 조정 Visual Studio Color Schemes  +   [Windows]   |  2012. 3. 21. 19:06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기본 컬러 스키마는 배경이 하얗고, 폰트가 돋움이라 장시간 코딩시 눈이 아프고 가독성이 좋지 않다.
컬러스키마를 바꾸고 싶은 개발자를 위한 사이트가 있다.


비주얼 스튜디오의 버전별로 컬러스키마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추천수나 사용자수에 따른 다양한 정렬을 보여준다.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컬러 스키마는 Step Son Of Obsidian으로, 기존의 Son Of Obsidian의 단점을 보완한 스키마이다. 이 스키마에 배경만 완전한 Black으로 바꿔주면 보기 좋다.


비주얼 스튜디오 2010 기준으로 스킨 적용하는 방법은,

설정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후 비주얼 스튜디오의

Tools
Import and Export Settings...
Import seleted environment settings
(현재 설정 저장 여부 확인)
Browse...
다운받은 설정 파일(파일이름.vssettings)선택

하면 된다.



 
  
  좀비 슈터 Zombie Shooter  +   [게임/스팀]   |  2012. 3. 16. 18:37


제목: Zombie Shooter
장르: 액션
개발자: Sigma Team Inc.
배급사: Sigma Team Inc.   
출시 날짜: 2007년 12월 29일
언어: 영어
싱글 플레이어
가격: 4.99$

학살류 액션게임. 적들도 과하게 나오고 총 파워도 과하다. 두시간이면 엔딩을 볼 수 있을 정도로 볼륨은 짧은편.

적을 떼거리로 조지는 맛은 좋지만 화염방사기를 제외하고 상위 단계의 무기를 사게되면 이전 무기를 안쓴다는 점, 캐릭터별 능력치고 뭐고 무기만 사면 장땡이라는 점은 좀 아쉽다.
또한 스토리 서사성도 약해 그냥 90년대 액션게임 비슷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버그도 좀 있는데 배경 오브젝트에 너무 잘 낀다. 아이템 먹으러 들어갔다가 못나와서 리셋하는 경우도 허다할 정도.
적들 인공지능도 좀 구려서 보스의 경우 한대도 안맞고 깰 수 있다.

번들에 껴있으면 모를까 구매하기는 권장하지 않는 작품.


 
  
  와이파이와 배터리 미터  +   [Rainmeter/Workshop]   |  2012. 3. 13. 01:20


스킨 다운로드


와이파이와 배터리 미터는 노트북 사용자의 주된 관심사이고, 아주 쉽게 만들수 있습니다.


레인미터에서 역동적인 이미지를 만드는 ImageCrop, ImageTint, 그리고 다른 이미지와 관련된 모든 기능은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우리는 DynamicVariable, Substitution, 그리고 Conditional Statement와 함께 몇개의 간단한 트릭을 사용하여 배터리 잔량 체크기의 색을 바꾸고 배터리가 적으면 깜박이게 할것입니다.

주의: 우리가 Bar 미터 대신 ImagerCrop을 쓰는 가장 큰 이유는 Bar 미터에서 이미지를 쓰면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할수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우리가 사용할 이미지를 잡는것부터 시작합니다.





이미지가 회색인 이유는 ImageTint를 사용하여 레인미터에서 색을 바꿀것이기 때문입니다.

우선 기본이 될 우리의 코드를 시작해 봅시다. 여러 변수들은 나중에 사용할것입니다.


[Rainmeter]
Author=Smurfier
Update=1000

[Metadata]
Name=Wifi and Battery Meter
Description=Shows the current status of both the Wifi and Batttery.
Instructions=
Version=
License=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3.0

[Variables]


OrigHW는 이미지의 기본 높이/길이입니다. 우리는 100x100px의 이미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가지 변수만 쓸것입니다.


OrigHW=100

Sections는 이미지의 분할의 수를 정합니다.


Sections=4

SectionsW는 각각의 분할된 이미지의 높이를 정합니다. 이 강의의 목적을 위해 이 변수는 공식의 형태를 가집니다.


SectionsW= (#OrigHW#/#Sections#)

HW는 각각의 지시기(indicator)의 크기가 바뀐 높이/길이를 정합니다. 다시한번, 우리는 이미지가 정사각형이기 때문에 딱 하나의 변수만 쓸것입니다.


HW=50

이제 지시기에 쓸 색상을 정합니다.

BatteryBack=0,0,255,100
BatteryIndic=0,0,255,255
Battery50=255,255,0,255
Battery25=225,0,0,255
WifiBack=0,255,0,100
WifiIndic=0,255,0,255

이제 우리는 와이파이 미터가 동작할 기본적인 코드를 작업해봅시다.

먼저 와이파이 상태를 측정합니다.


[msWifi]
Measure= Plugin
Plugin= PluginsWiFiStatus.dll
WiFiInfoType=Quality

이제 흥미로운 부분입니다. 우리는 지시기의 폭을 정합니다.


[cWifi]
Measure=Calc
Formula=ROUND(msWifi/(100/#Sections#))*#SectionsW#


주의: 만일 당신이 ImageCrop대신 Bar미터를 사용하려 한다면, 다음 공식을 사용하세요: (CurrentValue/MaxValue)*OriginalDimension

이제 우리는 배경 이미지를 정할겁니다.


[mBack]
Meter=Image
ImageName=Back.png
ImageTint=#WifiBack#
AntiAlias=1

우리가 미리 만들어놓은 길이와 높이를 적용하는것을 잊지 마세요.


H=#HW#
W=#HW#

와이파이 미터를 한칸 오른쪽으로 욺직이고, 조금 아래 배터리 지시기를 위한 공간을 만듭니다.


X= (#HW#*0.25)
Y= (#HW#*0.05)

이제 실질적인 와이파이 지시기를 만듭니다.


[mStat]
Meter=Image
ImageName=Back.png
ImageTint=#WifiIndic#
AntiAlias=1
X=r
Y=r
DynamicVariables=1

이부분에서 이미지는 여전히 본래의 크기를 가집니다.


ImageCrop=0,0,[cWifi],#OrigHW#

이것이 의미하는것 : 시작은 위, 왼쪽을 기준으로 하고 [cWifi] 만큼 옆으로 #OrigHW# 만큼 위로 박스에 맞춰 자릅니다.

이제 미리 위에서 정한 대로 길이와 너비를 맞춰봅시다.


H=#HW#

우리는 이제 잘라낸 이미지를 새로운 너비에 맞춰 크기를 조절할것입니다. 잘라낸 이미지의 너비로, 원래의 이미지의 비율이나 퍼센트로 분할해서 새로운 너비로 곱할겁니다.


W= (#HW#*([cWifi]/#OrigHW#))

이것입니다. 우리는 이제 동작하는 와이파이 미터를 만들었습니다. 이제 배터리 미터를 만들어봅시다.


배터리를 측정하는것도 와이파이와 비슷합니다.


[msPower]
Measure= Plugin
Plugin= Plugins\PowerPlugin.dll
PowerState= Percent

이전과 비슷합니다.


[cPower]
Measure=Calc
Formula=ROUND(msPower/(100/#Sections#))*#SectionsW#

또다른 배경이미지


[mBack2]
Meter=Image
ImageName=Back.png
ImageTint=#BatteryBack#
H=#HW#
W=#HW#
AntiAlias=1

우리는 같은 이미지를 뒤집어서 쓸겁니다.


ImageFlip=Both

이제 배터리 지시기의 색을 퍼센트로 바꾸는 부분입니다.


[BatteryColor]
Measure=Calc
Formula=msPower>=50?-1: (msPower<25?-3:-2)

이제 우리는 substitute를 써서 이 값들의 색을 바꿀겁니다. 컬로 코드에 존재하지 않는 음수를 사용할겁니다.


Substitute="-1":"#BatteryIndic#","-2":"#Battery50#","-3":"#Battery25#"

전원이 25%보다 작으면 지시기가 번쩍이게 만들겁니다.


[BatteryBlink]
Measure=Calc

Conditional statements는 1 (true)과 0 (false)을 씁니다.

Formula= (msPower<25)*(1-BatteryBlink)

이제 앞에 측정한 것으로 배터리 지시기를 만듭시다.

[mStat2]
Meter=Image
ImageName=Back.png
ImageTint=[BatteryColor]
ImageFlip=Both
AntiAlias=1
DynamicVariables=1

앞에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ImageCrop=0,0,[cPower],#OrigHW#
W= (#HW#*([cPower]/#OrigHW#))
H=#HW#

우리가 앞에서 만든 뒤집어 놓은 이미지를 움직여서, 올바른 위치로 자르고 키워야 합니다.

크기가 조절된 잘린 이미지의 너비를 전체 이미지와 비교한 비율로 나눕니다. What we need is the ratio of what we're not using so we take 1 and subtract that ratio we just calculated and multiply that by the new width.

X= (#HW#*(1-[cPower]/#OrigHW#))
Y=r

지시기를 깜박이게 하기 위해 만든 measure를 사용합니다.

Hidden=[BatteryBlink]


 
  
 
 
<<이전   | 1 | 2 | 3 | 4 | 5 | 6 |   다음>>
 

데드캣's Blog is powered by Daum &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