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태그   위치로그   이웃로그   방명록
          
 
 
04-18 04:28
 
 
     
 
  전체 에 해당되는 글 57
2013.04.03   헝가리안 표기법 Hungarian Notation 
2013.04.03   캐멀케이스와 파스칼케이스 camelCase / PascalCase 
2013.04.02   Cannot make a static reference to the non-static field count 
2013.02.16   페도라 리눅스에서 스팀 설치하기 Install steam in Fedora Linux 3
2013.02.05   윙커맨더 시크릿 옵스 키 생성기 Wing commander Secret ops Keygen 1
2013.02.05   보더랜드1 설정 툴 Borderland Config Tool v.2.1.4 
2013.02.05   키 동시입력 테스트 프로그램 
2013.02.05   트윗덱 구버전 Tweetdeck legacy version 2
2013.02.01   VMWare에서 페도라 18 설치하기 Install Fedora 18 to VMWare 1
2013.02.01   페도라 리눅스 18에서 VMWare Tools 설치하기 Install VMWare Tools to Fedora 18 in VMWare 4
  헝가리안 표기법 Hungarian Notation  +   [Java]   |  2013. 4. 3. 01:05

헝가리안 표기법은 프로그래밍에서 식별자(Identifier)의 이름을 붙이는 규칙으로 시스템 헝가리안과 앱스 헝가리안 두가지로 나뉜다.


앱스 헝가리안(Apps Hungarian)은 원조(!)헝가리안 표기법이며 제록스 PARC에서 일했고 차후 마이크로소프트 치프 아키텍트가 된 프로그래머 Charles Simonyi에 의해 개발되었다. 변수의 첫글자는 그 변수의 타입에 따라 사용하는 것으로 포트란의 변수 이름은 I부터N까지 기


헝가리안 표기법은 언어 독립적이며 최초로 대중적으로 사용된 것은 BCPL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그 이유는 BCPL은 다른 기계언어와 비교해 데이터타입이 없었으며, 따라서 프로그래머는 변수의 타입을 기억해야했기 때문이다.


헝가리안 표기법은 변수의 



임시저장//


 
  
  캐멀케이스와 파스칼케이스 camelCase / PascalCase  +   [Java]   |  2013. 4. 3. 00:22




PascalCase: BackColor처럼 연결된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해야한다.


camelCase: backColor처럼 연결된 단어의 첫 글자는 소문자로, 이후 연결된 단어들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Uppercase: System.IO나 System.Web.UI처럼 2글자 이하인 식별자(Identifier)를 전부 대문자로 쓴다.



camelCase의 종류는 Upper와 Lower가 있으며 Upper Camel Case(UCC)는 파스칼케이스라고도 불린다. Lower는 (LCC) 그냥 캐멀케이스이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는 식별자의 이름을 붙이는데 사용되었는데, 일반적인 경우 식별자는 띄어쓰기를 사용할 수 없고 마이너스(-)또한 빼기로 취급되어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언더바(_)를 사용하거나(스네이크 케이스snake_case라고도 한다) camelcase처럼 직접적으로 소문자 단어들을 연결했다. 하지만 이렇게 직접 단어들을 연결하자 가독성이 떨어졌고, 후속 단어를 대문자로 쓰기 시작했다.


 
  
  Cannot make a static reference to the non-static field count  +   [Java]   |  2013. 4. 2. 15:58


자료 구조와 JAVA

이석호 저, 정익사


프로그램 1.1

public class JavaOne {
    int count = 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This count is: " + count);
    }
}


??? 예제코드에는 JavaOne에 count를 선언하고 정의하라고 되어있는데 해보면 스태틱 클래스 (main)밖의 것을 참조할 수 없다고 에러가 난다.

고치려면? count를 클래스의 객체로 만들거나 static int count로 선언해야한다!!!
왜? static 멤버들이 먼저 컴파일되면서 비스태틱 멤버인 count가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http://enjoyjava.tistory.com/7)


솔루션 1. 참조하려는 것을 전부 스태틱으로 바꾼다.


public class JavaOne {
    static int count = 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this count is: " + count);
    }
}



솔루션 2. 클래스로 만들어서 객체를 생성한다.


public class JavaOne {
    int coun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JavaOne a = new JavaOne();
        a.count = 1;
        System.out.println("this count is: " + a.count);
    }
}



 
  
  페도라 리눅스에서 스팀 설치하기 Install steam in Fedora Linux  +   [Linux/Fedora]   |  2013. 2. 16. 22:34
원문은 http://russellbryantnet.wordpress.com/2012/12/07/installing-steam-for-linux-beta-on-fedora-17/ 여기.


wget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만일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sudo yum wget 해서 설치하자.



$ wget http://spot.fedorapeople.org/steam/steam.repo

$ sudo mv steam.repo /etc/yum.repos.d/

$ sudo yum install steam

$ rpm -q steam

$ steam



특이하게 x64에서도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다. (우분투는 안되는데!)




 
  
  윙커맨더 시크릿 옵스 키 생성기 Wing commander Secret ops Keygen  +   [게임]   |  2013. 2. 5. 15:37

윙커맨더 시크릿 옵스는 오리진이 무료로 공개한 작품으로, 맨 처음 실행할 때 등록키를 입력해야한다.

원래는 오리진 홈페이지에서 생성이 가능했지만 현재는 링크가 죽었기 때문에 팬이 만든 제작기를 사용해야한다.



원 저작자는 http://hcl.solsector.net/archive/wcsokg.htm 이곳이며 자바를 안쓰는 변형판은 http://spacesimcentral.com/wcso_keygen.html 이곳에서 개조한 것을 가져왓다.


윙커맨더 시크릿 옵스 : 인증 키 생성기

이 키 생성기는 당신이 윙커맨더 시크릿 옵스를 플레이 할 수 있게 키를 생성해줍니다.


사용법:
1. 'Callsign' 상자에 당신이 사용할 콜사인을 넣는다.
2. 스킬 레벨(=난이도)를 선택한다. Veteran이 기본이다.
3. 아래 상자에 키가 나타날 것이다. 키가 생성되지 않는다면 다른 난이도를 선택했다가 다시 원하는 난이도를 선택해본다.
4. 이 키를 게임에 입력한다.



Callsign
:

Difficulty Level:
Rookie
Veteran
Ace
Hero
Nightmare

Activation Key:


WCSO Keygen - Created by HCl and modified by DarkOne for use on SSC.

Secret Ops is copyright of Origin Systems



 
  
  보더랜드1 설정 툴 Borderland Config Tool v.2.1.4  +   [게임/스팀]   |  2013. 2. 5. 15:20

보더랜드 1은 괜찮은 게임이나 옵션이 세세하지 않아 불편할 때가 많다.

그럴때를 위해 양덕들이 몸소 설정 툴을 제작했다.


내 경험상 일부 기능은 잘 동작하지 않는다. -_-;


원본 페이지는 http://forums.gearboxsoftware.com/showthread.php?t=85874 이곳



Borderlands Config Editor v2.1.4.exe



 
  
  키 동시입력 테스트 프로그램  +   [Windows]   |  2013. 2. 5. 15:17

리듬게임이나 기타 키보드로 게임할 때 동시입력이 되는지 확인하는 간단한 프로그램이다.


윈도 8 64비트에서 한글 상태일 때 오동작을 보이기도 한다.


키충돌.exe



 
  
  트윗덱 구버전 Tweetdeck legacy version  +   [Windows]   |  2013. 2. 5. 15:14

트윗덱이 0.38.2 이후로 트위터에 인수된 후 1.0으로 판올림 하며 디자인을 쇄신했다.


하지만 일부 없어진 기능도 많고 기존 트윗덱에 비해 모자란점도 많기 때문에 구버전을 사용하는 사람도 많다.


트윗덱 1.0 이전까지 업데이트된 가장 최신의 (어감이 이상하지만) 구형 트윗덱이다.



TweetDeck_0_38.2.air



 
  
  VMWare에서 페도라 18 설치하기 Install Fedora 18 to VMWare  +   [카테고리 없음]   |  2013. 2. 1. 20:53

페도라 18부터 인스톨러가 바뀌면서 설치방법이 약간 바뀌었다.

물론 비선형적이라고 까는 사람이 있지만 일단 비주얼적으로는 깔끔해졌다.


VMWare에 깔아보자.



1. 새 가상 머신 만들기


Custom을 선택해 옵션을 조절한다.



Workstation 9.0을 확인한다.



여기서 디스크를 선택하게되면 자동설치로 넘어가기 때문에 세세하게 설정은 어렵다.

취향대로 선택하자. 여기서는 인스톨러도 바뀌었고 불안해서 나중에 디스크를 넣는다.



운영체제 선택에서 Linux를 선택하고 리눅스 종류에서 Fedora를 선택한다.



가상머신이 저장될 경로를 정한다.



CPU에 대한 설정을 한다. 본인의 CPU의 쓰레드 갯수와 프로세서 갯수를 잘 모르겠다면 그냥 1/1로 지정한다.



메모리 설정을 한다. 페도라는 메모리가 일정 이하일 경우 아예 설치가 되지 않으므로 넉넉하게 준다.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NAT를 추천한다.



하드 종류를 선택한다. SAS는 윈도일때만 추천한다.




디스크를 만들것인지 기존걸 쓸것인지 정한다.



디스크 인터페이스를 정한다.



디스크 용량을 정하고 미리 용량을 확보할건지, 하나의 파일로 만들건지 쪼갤지를 정한다.



이제 아래쪽의 Customize Hardware 버튼을 눌러 설정을 한다.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Accelerate 3D graphics이 체크되있으면 부팅과 설치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

이는VMWare Tools를 설치해도 마찬가지다.



이제 페도라 설치 시디를 선택한다.






2. 설치


부팅해서 설치를 바로 진행하고싶으면 Install을, 설치 미디어의 무결성을 체크하려면 Test를 선택한다.




언어를 선택한다. 아래쪽 체크를 선택하면 키보드도 현재 언어에 맞춰 자동으로 설정된다.




가장 많이 바뀐 부분이다. 테스트목적이라면 딱히 건들필요는 없고, 아래쪽 "스토리지" 항목을 클릭한다.



그냥 완료를 눌러 파티션 선택을 완료하면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설치중 루트 암호를 정하게 된다.

이부분에서 화면이 자꾸 멈춘다면 3D 가속을 켠 것이니 반드시 꺼줘야 한다.



루트 암호를 정한다.





3. 설정


한차례 재부팅을 하면 설정페이지가 뜬다. 다른건 그냥 앞으로 넘겨주면 된다.



사용자 계정을 설정하게 된다. 일반 사용자가 될 계정이다.





시간을 정하게 된다. 그냥 완료를 누른다.




이제 설치가 완료되었다.

주의해야할점은 설치가 완료된 후라도 3D가속을 켜면 페도라가 부팅중 바탕화면에서 멎는다는 것이다.






 
  
  페도라 리눅스 18에서 VMWare Tools 설치하기 Install VMWare Tools to Fedora 18 in VMWare  +   [Linux/Fedora]   |  2013. 2. 1. 18:35

이 글은 번역문이며 원문은 이곳이다



1. Activity를 누르고 terminal을 검색해 터미널을 연다.




2. 커널을 업데이트한다.

uname -r


만일 이 결과로 나온 문자열이 PAE라고 나온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조한다.


su -c 'yum update kernel'


설치후 재부팅한다.


reboot


3. VMWare 메뉴에서 VMWare Tools를 집어넣는다.




4. 팝업창이 뜨면 Open with Files를 누른다.



5. VMwareTools 압축파일을 더블클릭한다.



6. Extract 버튼을 눌러서 파일을 /tmp 폴더에 푼다.


7. 사전 준비물을 설치한다.

su

yum install gcc

yum install kernel-headers kernel-devel



8. VMware 툴을 깐다.

cd /tmp/vmware*

./vmware-install.pl


만일 설치 중 커널 헤더를 찾을 수 없다는 에러메세지가 난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조한다.



9. Enjoy가 나오면 설치된 것이다.


10. 재부팅한다.



VMWare 9와 페도라 18의 궁합으로 툴을 설치하더라도 3D 가속 기능을 켜면 바탕화면이 나온 상태에서 부팅이 진행이 되지 않으니 반드시 가속을 꺼줘야한다.













 
  
 
 
<<이전   | 1 | 2 | 3 | 4 | 5 | 6 |   다음>>
 

데드캣's Blog is powered by Daum &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