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태그   위치로그   이웃로그   방명록
          
 
 
04-17 12:46
 
 
     
 
  전체 에 해당되는 글 57
2013.02.01   페도라 리눅스 7~17까지 커널이 PAE일 때 VMWare Tools 설치법 
2013.02.01   페도라 리눅스 18에서 VMWare Tool 깔 때 커널 헤더를 찾을수 없는 에러 해결법 Cannot find kernel header during VMWare Tools install 
2012.12.07   윈도 8에서 XP 공짜로 쓰기 10
2012.12.04   파이어폭스 탭 저장하기 Save tabs when closing firefox 
2012.11.13   오른클릭 메뉴에서 SkyDrive Pro 메뉴 없애기 Remove SkyDrive Pro Context menu 
2012.10.09   바인딩 오브 아이작 트레이너 The Binding Of Isaac Trainer 25
2012.08.26   바인딩 오브 아이작 세이브 백업하기 Backup Binding Of Isaac Save File 1
2012.06.26   전원 계획 단축아이콘 만들기 Power Plan Shortcut 2
2012.06.13   윈도 8에서 윈도7 감각으로 사용하기 Using Windows 8 feels like Windows 7 
2012.06.13   윈도 8에서 제어판 들어가기 및 기타 유용한 단축키 Windows 8 Control Panel 
  페도라 리눅스 7~17까지 커널이 PAE일 때 VMWare Tools 설치법  +   [Linux/Fedora]   |  2013. 2. 1. 18:13

이 글은 번역문으로 원문은 이곳 이다.

만일 자신의 커널이 PAE가 아닐 경우 이 방법을 따라하면 안된다.


자신의 커널이 PAE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터미널에서

uname -r

을 입력했을 때 PAE란 글자가 들어가는지 확인하면 된다.



터미널을 열어 사전준비물을 깐다.

su

yum install gcc gcc-c++ make binutils



커널을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한다.

yum update kernel

reboot


커널 헤더를 설치한다.

su

yum install kernel-headers kernel-PAE-devel


이후

uname -r

로 커널 버전을 확인한다. 이하 (커널버전)으로 칭한다.


이제 VMWare 메뉴에서 Install Vmware Tools를 눌러 디스크를 넣고 다음을 입력한다.

cp /media/VMware\ Tools/VMwareTools*.tar.gz /tmp

cd /tmp

chmod +x VMwareTools*.tar.gz

tar xvzf VMwareTools*.tar.gz



이제 VMWare Tools를 설치한다.

cd /tmp/vmware*

./vmware-install.pl


페도라 리눅스 18부터는 폴더구조가 약간 변해 따로 포스팅을 작성한다.



 
  
  페도라 리눅스 18에서 VMWare Tool 깔 때 커널 헤더를 찾을수 없는 에러 해결법 Cannot find kernel header during VMWare Tools install  +   [Linux/Fedora]   |  2013. 2. 1. 18:04

페도라 18에서 VMWare툴을 그냥 설치하면 커널 헤더를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난다.


다음 방법대로 하면 에러를 없앨 수 있다.


sudo yum install kernel-*

sudo cp /usr/src/kernels/(커널 버전)/include/generated/uapi/linux/version.h lib/modules/(커널 버전)/build/include/linux/


여기서 커널버전은 kernels/까지 입력하고 탭키를 두번 누르면 확인할 수 있다. 가장 최신버전을 써주면 된다.


이후 VMWare Tools를 깔면 정상적으로 경로를 찾는다.


 
  
  윈도 8에서 XP 공짜로 쓰기  +   [Windows/8]   |  2012. 12. 7. 02:59

윈도 8에서는 XP모드가 공식 지원되지 않는다. 하지만 약간의 방법을 동원하면 XP, XP모드를 무료로 쓸 수 있을 뿐더러 멀티부팅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윈도 8이 정품이어야 한다.


1. http://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8002 에서 XP모드를 받는다.

세가지가 있는데 각 버전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K버전 : Media Player Center 웹 사이트와 Messenger Center 웹 사이트에 대한 링크를 포함

KN버전 : Windows Media Player, Windows Messenger 그리고 Media Player Center 웹 사이트 및 Messenger Center 웹 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하지 않음

없음 : 원본


일반적으로 우리가 볼 수 있는 윈도는 K버전으로 인터내셔널과 비교했을 대 링크가 들어가는것 외에는 차이가 없다.


출처링크 : http://www.microsoft.com/ko-kr/about/legal/koreanorder/faq.aspx



2. 파일 받기에 앞서 정품확인을 하게 된다. 인증 프로그램을 받아 나온 키를 입력하면 다운로드 페이지가 열린다.




3. 받은 WindowsXPMode_K_ko-kr.exe를 압축프로그램에서 열어 sources 폴더 안에 xpm파일을 추출해 낸다.




4. 다시 이 xpm파일을 압축프로그램으로 열어 VirtualXPVHD파일을 추출해 낸다.



5. 이 파일의 확장자를 VHD로 바꾸면 된다.



6. 이제 VirtualPC로 이 VHD를 돌리면 XP모드가 되고, VMWare에 물려서 사용할 수도 있고, 윈8 프로 이상부터 들어있는 Hyper-V기능으로 사용도 가능하며 몇가지 방법을 동원하면 XP로 멀티부팅도 할 수 있다.




 
  
  파이어폭스 탭 저장하기 Save tabs when closing firefox  +   [카테고리 없음]   |  2012. 12. 4. 17:23

파이어폭스 동기화 옵션에 보면 탭 목록이 있지만,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탭이 저장되지 않는다.

그것을 풀어보자.


먼저 옵션에 탭을 닫을 때 경고창이 표시되게 설정이 되어있어야 함.

주소창에 about:conifg 입력

browser.showQuitWarningfalse에서 true로 변경


이후 파이어폭스를 탭 있는 상태에서 종료할 때 Save & Quit 선택버튼이 생긴다.




 
  
  오른클릭 메뉴에서 SkyDrive Pro 메뉴 없애기 Remove SkyDrive Pro Context menu  +   [Windows/7]   |  2012. 11. 13. 18:35

오피스 2013은 스카이드라이브 프로를 안깐다고 해도 강제로 오른클릭에 등록시켜 버린다.

이걸 제거해보자.


Win+R키로 "실행"

regedit

HKEY_CLASSES_ROOT\AllFileSystemObjects\shell\SPFS.Context menu 항목 삭제


물론 모든 행위는 your own risk이다.

'Windows > 7'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trol 명령어  (0) 2012.03.29
하드웨어 안전 제거 아이콘 만들기 및 rundll32.exe  (1) 2012.03.21
제어판 바로가기 경로 추출 및 CLSID  (0) 2012.03.21
Quick Launch 추가하기  (0) 2012.03.12
Administrator 계정 열기  (0) 2012.03.12

 
  
  바인딩 오브 아이작 트레이너 The Binding Of Isaac Trainer  +   [게임/스팀]   |  2012. 10. 9. 17:47

맨날 아이작하다가 도저히 안되겠다 싶어서 게임을 재미없게 하기위해 트레이너를 구했다.
효과는 굉장했다.


버전 1.48 확장팩에서만 정상 동작을 보장하며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F1- Infinite HP/Life
F2- Maximum Coins/Bombs/Keys
F3- Infinite Coins
F4- Infinite Bombs
F5- Infinite Keys
F6- 2x Movement Speed
F7- Maximum Fire Rate


무한 체력이라도 데미지가 안들어간 것으로 계산되는 것이 아닌, 체력이 달았다가 회복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노데미지는 아니다.


게임 도중 무한 코인/폭탄/열쇠를 사용한 경우 폭탄은 쓸때마다 갯수가 오히려 하나씩 오르고, 코인과 키는 달지만 않는다.

특이하게 포켓슬롯머신, Greed에게 얻어맞으면 돈이 줄어든다.


Isaac 7.EXE



 
  
  바인딩 오브 아이작 세이브 백업하기 Backup Binding Of Isaac Save File  +   [게임/스팀]   |  2012. 8. 26. 00:20

바인딩 오브 아이작은 흥미로운 로그라이크+젤다 패러디 게임이지만 아쉽게도 플래시 기반이라 CPU성능을 많이 타고 세이브가 지 멋대로 저장되는 게임이다.


아이작의 세이브를 백업하려면 다음 두 파일을 백업한다.


C:\Program Files\Steam\SteamApps\common\the binding of isaac\serial.txt - 32비트

or

C:\Program Files (x86)\Steam\SteamApps\common\the binding of isaac\serial.txt - 64비트


%appdata%\Macromedia\Flash Player\#SharedObjects\(랜덤한 문자열)\localhost\so.sol


복원할 때는 아이작 한번 실행 후 종료해서 생긴 랜덤문자 폴더에 복원해주면 된다.



OS X에서의 백업은 다음과 같다.

~/Library/Application Support/Steam/SteamApps/common/the binding of isaac/serial.txt

~/Library/Preferences/Macromedia/Flash Player/#SharedObjects/(랜덤한 문자열)/localhost/so.sol




 
  
  전원 계획 단축아이콘 만들기 Power Plan Shortcut  +   [Windows]   |  2012. 6. 26. 01:16

노트북을 사용할 때 시간을 조금이라도 늘리기 위해 전원계획을 자주 바꾸곤 한다. 같은 전원 옵션 세부설정을 지정해 두어도 전원 계획에 따라 시간이 몇시간씩 차이나기 때문이다.


맨날 제어판가서 바꾸다가 빡쳐서 단축아이콘을 만들어 보았다.



시작 - 실행 - cmd 에서


powercfg -list


라고 치면 현재 전원 계획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프리셋들이 나온다.

별표가 되어있는 건 현재 선택된 프리셋이다.


이곳에서 GUID를 확인하였으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전원 계획이 바뀐다.


powercfg.exe /setactive GUID



예를 들자면 윈도 7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있는 전원 계획들은 다음과 같다.


High performance

powercfg.exe /setactive 8c5e7fda-e8bf-4a96-9a85-a6e23a8c635c


Balanced

powercfg.exe /setactive 381b4222-f694-41f0-9685-ff5bb260df2e


Power saver

powercfg.exe /setactive a1841308-3541-4fab-bc81-f71556f20b4a


레인미터 같은 외부 프로그램들은 저 명령어들을 따옴표로 한번에 묶으면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powercfg.exe" /setactive 8c5e7fda-e8bf-4a96-9a85-a6e23a8c635c


이렇게 묶으면 잘 작동한다.



이것으로 단축아이콘을 만들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바탕 화면 오른클릭 - 새로만들기 - 단축아이콘


경로에 위의 전원 계획 입력


단축아이콘 이름 정하고 확인



만들어진 단축아이콘에 오른 클릭 - 속성


아이콘 변경


포함된 아이콘이 없다는 에러메세지를 무시한다.



아이콘 경로에 %SystemRoot%\System32\powercpl.dll



만일 아이콘을 실행할 때 CMD창이 번쩍이는게 싫다면 다음과 같이 "최소화"로 바꾼다.




 
  
  윈도 8에서 윈도7 감각으로 사용하기 Using Windows 8 feels like Windows 7  +   [Windows/8]   |  2012. 6. 13. 01:43

윈도 8에서 인터페이스가 대거 바뀌어서 혼동하는 이들이 많을 것이다.

물론 이것은 유저가 적응해야 하는 일이지만 해외에서도 리본인터페이스와 메트로, 시작버튼이 마음에 안들었는지 여러 프로그램이 나왔다.


기존에 레지스트리에서 RPEnable을 변경해서 메트로를 꺼버리는 방법이 있었지만 MS에서 시작메뉴 코드를 날려버리면서 이 옵션까지 없애버려 더이상 메트로를 끄는 것은 불가능하다.


1. 시작메뉴

윈도 8에선 시작메뉴가 없어지고 단축아이콘들만 반기는 것을 볼 수있다.

하지만 유틸을 사용하면 억지로 시작메뉴를 끄집어 낼 수 있다.


두가지 유틸이 있는데, 한가지는 윈도 7 형태로 살리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메트로 UI가 적용된 시작메뉴로 살리는 것이다.



(1) ViStart


기존 윈도7 형태의 시작메뉴를 살려주는 프로그램이다.




유의할 점은 설치할 때 체크박스를 확실하게 해줘야한다는 점과(EULA 체크할 때 바빌론 어쩌구를 설치하려고 하고, 최종 설치 직전에 스피드업 프로그램을 설치하라고 하는건데 여기서 반드시 Decline을 해줘야 한다.


현재 영문윈도를 쓰고있음에도 국가설정이 한글이면 한글로 뜨게 된다. -_-;;



(2) Start 8


그 유명한 Stardock에서 만드는 프로그램이다.



아예 Desktop에 메트로를 통합시켜버리는데, 클릭하거나 Win키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뜨게된다. (Win키를 대체해 버린다)



즉 그냥 메트로 화면을 작게 축소해서 가져와 버린다.


아직 베타라서 그런지 Setting같은 것은 동작하지 않는데다 메트로 앱만 실행이 가능하다는 것,

그리고 아예 메트로 초기화면으로 편법적인 방법 (메트로 앱을 실행 후 Win키 혹은 Win+Tab으로 선택 등)을 동원하지 않는 이상 돌아갈 수 없게 되버려서 아직은 비추.


시작메뉴에서 오른클릭하면 다음 메뉴가 뜬다.




2. 리본 메뉴 삭제


리본메뉴는 MS에서 밀고 있는 인터페이스로, 큼직큼직해서 편하긴 한데 16:9의 작은 노트북의 경우 작업환경을 심각하게 침해한다.

윈도 기본 UI에서 리본메뉴를 날려보자.


Ribbon Disabler



사용법은 간단하다. 압축을 풀면 파일이 두개가 나올텐데 x64는 64비트용, 별다른게 없는것은 32비트 용으로 자신의 윈도에 맞춰 실행하면 끌거냐 켤거냐를 묻는다. 이때 끄기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로그오프 한 뒤 리본메뉴가 없어진다.




리본 인터페이스를 켰을 때



리본 인터페이스를 껐을 때



그 외 StartMenu 7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베이직 버전 외에는 유료이므로 리뷰하지 않겠다.





 
  
  윈도 8에서 제어판 들어가기 및 기타 유용한 단축키 Windows 8 Control Panel  +   [Windows/8]   |  2012. 6. 13. 01:02

블로그 유입경로를 보다보니 "제어판 들어가기"류가 많이 보여서 씀.


윈도 8에는 시작버튼이 없어져서 기존에 단축키를 쓰지 않았던 사람들은 당황하기 딱 좋다.

내컴퓨터야 어찌어찌 한다해도 제어판을 들어가기가 상당히 당황스러울 것이다.


쉽게 제어판을 들어가는 방법은 세가지가 있다.


1. 내 컴퓨터에서 들어가는 방법

내 컴퓨터의 단축키는 Win+E 키 이다. 이렇게 내 컴퓨터를 부른 후 가운데 위에 있는 제어판을 열면 된다.




2. 실행에서 들어가는 방법

Win+R을 누르면 "실행"창이 뜬다. 여기서 몇가지 들어가는 방법이 있지만 가장 외우기 편한건 control이라고 치는것이다.


3. 단축메뉴 사용

시작버튼이 없어진 대신 Win+X를 누르면 숨겨진 메뉴가 뜬다. 여기서 Control Panel을 선택하면 된다.

단축키 대신 왼쪽 아래 모서리에 마우스를 대면 메트로 초기화면의 미리보기가 뜨는데 이 미리보기 위에서 오른클릭해도 된다.





아 마지막으로 윈도 8의 메트로 제어판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Win+C 키나 오른쪽 끝에 마우스를 대고 톱니바퀴 모양 (Charm 메뉴) 이후 "More Setting"을 누르면 된다.




 
  
 
 
<<이전   | 1 | 2 | 3 | 4 | 5 | 6 |   다음>>
 

데드캣's Blog is powered by Daum & tistory